경주시가 (재)경주문화재단 문화도시사업단과 함께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‘문화도시 지정’ 공모 사업에 도전한다.
경주시는 각 부서별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공유하기 위해 행정협의체 간담회를 지난 23일 개최했다.

<사진설명/경주시가 문체부 주관 ‘문화도시 지정’을 위해 각 부서별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공유하기 위해 행정협의체 간담회를 지난 23일 개최하고 있다.>
이날 회의는 지역 고유문화의 문화적 창의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문화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기획됐다.
법정 문화도시로 지정된 지자체는 도시 특성에 따라 연간 20억원씩 최대 100억원까지 사업비를 받을 수 있어 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 환경을 기획·실현하고 브랜드를 창출할 수 있다.
앞서 시는 문화도시 추진위원회, 유관기관 협의체, 시민협의체, 문화예술인협의체, 사회적 경제협의체 및 행정협의체를 구성하고 ‘문화도시 지정’을 위한 기반 조성에 나서고 있다.
특히 경주시는 올해 경북도로부터 ‘문화특화지역조성사업’에 선정되어 5년간 도비를 지원받게 되면서 ‘문화도시 지정’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.
‘문화특화지역조성사업’은 △문화도시 공감 △지역 문화인력 양성 △생활문화 확산 △지역문화 생태계조성 4개 분야로 나눠 추진된다.
세부적으로 살펴보면 △문화도시 공감은 문화도시포럼, 라운드테이블, 향토문화반상회, 시민문화협의체 운영 등을 골자로 운영되며 △지역 문화인력 양성은 시민기획단과 시민활동가를 양성하는 게 골자다.
또 △문화도시 탐사단 운영은 생활문화 확산은 시민제안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골자로 하고 △지역문화 생태계조성은 문화동행스튜디오, 경주문화포털 구축, 문화창작소 조성 및 운영 등 문화예술인을 위한 창작지원 사업을 추진한다.
김호진 경주시장 권한대행은 “각 부서에서 추진하는 사업들의 공유체계를 유지해 향후 시에서 추진하는 모든 사업들이 시너지 효과를 내기를 바란다”고 밝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