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05.01 (목)

  • 맑음동두천 26.0℃
  • 구름많음강릉 28.0℃
  • 구름많음서울 24.5℃
  • 맑음대전 25.8℃
  • 맑음대구 26.1℃
  • 맑음울산 22.5℃
  • 맑음광주 25.0℃
  • 구름조금부산 21.0℃
  • 맑음고창 25.3℃
  • 구름조금제주 18.9℃
  • 구름조금강화 22.5℃
  • 맑음보은 25.4℃
  • 맑음금산 26.8℃
  • 맑음강진군 22.8℃
  • 맑음경주시 28.3℃
  • 맑음거제 21.0℃
기상청 제공

사회

540만 1인가구 시대, 혼자 사는 20-30대 늘었다

20-30대 1인가구비중 세종, 서울, 대전, 광주 순으로 높아

혼자사는 20-30대가 늘고 있다.
 
금태섭 의원이 통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가구는 540만(27.9%) 가구로 2010년 422만(23.9%)에서 118만 가구가 증가했다[표1]. 30대가 95만명으로 가장 많고, 20대 93만명, 50대 91만명, 40대 84만명 순이었다. 10대도 6만명, 80대 이상도 34만명이 홀로 가구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.
 
시도별 20-30대 1인가구 비중은 세종 53.6%, 서울 46.6%, 대전 44.7%, 광주 38.8% 순으로 높았으며, 독거노인(65세 이상 1인 가구) 비중은 전남 42.2%, 전북34.2%, 경북33.2%, 경남 30.4% 순으로 높았다[표2]. 1인가구 사유는 미혼, 사별, 이혼 순인데 청년층은 미혼이 첫째 이유였다.
 
통계청*은 1인가구가 매년 증가해 2045년에는 809만 8천가구(36.3%)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각종 국가시책에서 1인가구는 소외되고 있는 상황이다. 2012년 시행된 「건강가정기본법」은 1인가구를 건강가정에서 제외하고 있으며, 주거정책, 조세정책 등에서 1인가구는 불이익을 받고 있다.
* 통계청 보도자료, 장래가구추계 : 2015~2045년, 2017.1.13.
 
금태섭 의원은 “결혼과 가정 형성에 필요한 비용 부담으로 결혼을 포기하는 청년층 비혼인구가 증가하고 있다”며, “청년 1인가구를 포괄하는 가족제도를 마련하는 것과 동시에 고용과 주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”고 강조했다.